본문 바로가기
건강

30대에 무슨 노화?

by secret9135 2025. 4. 2.
반응형

30대부터 노화 예방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는 얘기에 놀랐던 적이 있다. 30에 무슨 노화예방? 노화예방은 5060, 아니 최소한 40대에 해당되는 말이 아니었나? 하지만 사실 이 말은 과학적으로 상당한 근거가 있다고 한다. 

 

러닝중은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

 

인간의 신체는 20대 후반부터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한다:

  • 근육량: 30대부터 매년 약 3-5%의 근육량이 감소하기 시작합니다(근감소증). 이는 40대 이후 더 가속화된다.
  • 뼈 밀도: 30세 전후로 최대 골밀도에 도달한 후,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빠르게 감소한다.
  • 대사율: 30대부터 기초대사율이 서서히 감소하여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 호르몬 변화: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 수치가 변하기 시작한다.
  • 유연성과 관절 건강: 콜라겐 생성이 감소하면서 관절과 인대의 유연성이 줄어든다.

이런 변화들은 초기에는 눈에 띄지 않지만,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40-50대에 더 분명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30대부터 다음과 같은 노화 예방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근력 훈련: 주 2-3회, 주요 근육군을 대상으로 한 저항 운동
  • 유산소 운동: 주 150분 이상의 중강도 유산소 운동
  • 유연성 운동: 스트레칭, 요가 등
  • 균형 운동: 밸런스 훈련으로 낙상 위험 감소

조기에 이러한 습관을 형성하면 노화 과정을 늦추고, 만성질환 위험을 줄이며, 노년기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운동 외에도 영양, 수면,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한 요소이다.

 

30대부터 시작하는 것이 "너무 이르다"고 생각하 수 있지만, 예방적 관점에서는 적절한 시기이다. 더 일찍 시작할수록 장기적인 혜택이 더 크다. 요즘은 운동과 건강에 관심이 많아져서 20대들도 러닝이나 다른 운동에 열심이다. 하지만 아직도 운동은 멀리하고, 야식을 찾는 습관이 있다면, 빨리 개선을 해야 더 건강한 내일을 맞이할 수 있다. 산책이라도, 저녁 식사 후 만보걷기라도 시도해 보자!! 티비나 유튜브 보면서 스쿼트나 코어운동 해보기도 추천한다.

반응형